캠핑장을 오픈하면 손자가 돈을 법니다..
많은 분들이 귀촌이나 자연과 가까운 삶을 꿈꾸며 캠핑장 창업을 고려하십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캠핑장을 열면 돈을 번다"**는 환상은, 현실적인 비용 구조 앞에서 무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캠핑장을 오픈하면 손자가 돈을 법니다
캠핑장 창업, 다시 한번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귀촌이나 자연과 가까운 삶을 꿈꾸며 캠핑장 창업을 고려하십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캠핑장을 열면 돈을 번다"**는 환상은, 현실적인 비용 구조 앞에서 무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땅을 임대했을 때, 땅을 구입하고 대출받았을 때 두 가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실제로 얼마나 수익이 남는지를 따져보겠습니다.
1. 캠핑장 창업에 필요한 기본 비용
항목 | 대략적인 비용 |
---|---|
땅 (임대 또는 매입) | 매입 시: 3억 ~ 10억 / 임대 시: 연 1,000만 ~ 3,000만 |
시설 설치 (전기, 수도, 화장실, 샤워실, 데크, 조경 등) | 1억 ~ 2억 |
인허가 비용 (환경영향 평가, 개발행위 허가 등) | 2,000만 ~ 5,000만 |
매년 유지보수 및 운영비 (전기세, 수도세, 쓰레기 처리, 인건비 등) | 연 2,000만 ~ 5,000만 |
보험 및 세금 등 | 연 300만 ~ 800만 |
2. 시나리오 1: 땅을 임대했을 경우
- 임대료: 연 2,000만 원
- 시설 투자비용: 1.5억 원 (자기자본으로 투자)
- 운영비용: 연 3,000만 원
- 1박 요금: 평균 5만 원
- 하루 평균 예약률: 50% (성수기 100%, 비수기 20% 고려)
수익 계산
- 사이트 수: 20개
- 연간 예상 숙박일: 365일 × 50% = 182일
- 연 매출: 20 × 5만 × 182일 = 1억 8,200만 원
- 순수익 = 1억 8,200만 - (임대료 2,000만 + 운영비 3,000만) = 1억 3,200만 원
👉 단순히 보면 수익이 남는 것 같지만, 초기 투자비용 1.5억 원을 회수하는 데만 10년 이상이 걸릴 수 있습니다. 그 사이에 시설 노후화, 규제 강화, **기후 문제(장마, 태풍 등)**로 수익은 더 줄어들 수 있습니다.
3. 시나리오 2: 땅을 구입하고 은행 대출을 받은 경우
- 땅값: 5억 원
- 시설 설치비: 1.5억 원
- 대출금: 5억 (금리 5%, 20년 상환)
- 연이자+원리금 상환액: 약 4,000만 원
- 운영비용: 연 3,000만 원
- 연 매출: 시나리오 1과 동일 (1억 8,200만 원)
수익 계산
- 총 비용: 4,000만 (대출 상환) + 3,000만 (운영) = 7,000만 원
- 순수익 = 1억 8,200만 - 7,000만 = 1억 1,200만 원
👉 대출을 갚아나가는 20년 동안은 절대적으로 수익이 제한됩니다. 게다가 대출금은 금리가 변동될 수 있으며, 수익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
4. 프리미엄 캠핑장? 오래 가지 않습니다
요즘은 프리미엄 캠핑장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1박에 10만 원 이상
- 2박 전용 운영 방식
- 고급 인테리어, 독채, 수영장, 키즈 공간 등 다양화된 구성
하지만…
- 이런 캠핑장은 시설 투자비용이 3억 이상 들며
- 고객 요구도 매우 높아, 불만이 생기면 입소문이 순식간에 돌고
- 무엇보다 사장님 인건비조차 안 남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시설을 간소화하고, 가격을 낮춰
- 손님 수는 적더라도 유지비가 덜 드는
- 저비용 구조의 캠핑장이 훨씬 장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
5. 우리가 놓치고 있는 숨은 비용들
한 번 짓고 나면 끝이 아닙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유지·보수 비용들이 캠핑장 운영자를 계속 압박합니다.
- 파쇄석 교체: 수년에 한 번씩 전체 교체 필요 (수백만 원)
- 조경 정비 및 다시 심기: 계절마다 수백만 원
- 샤워실, 화장실 인테리어 리뉴얼: 3~5년 주기 수백 ~ 천만 원
- 장비 교체 (조명, 콘센트, 펌프 등): 꾸준한 교체 필요
이 외에도…
- 이벤트 및 행사비용: 음악회, 불꽃놀이, 체험 프로그램 등
- 행사를 안 하면? → 손님이 안 옵니다.
- 행사를 하면? → 돈이 듭니다.
이 딜레마는 캠핑장 운영자의 스트레스를 배로 만듭니다.
6. 결론: 손자는 돈을 벌지 몰라도, 나는 아닙니다
처음엔 낭만이 있었고, 꿈도 있었지만…
현실적인 수익 구조를 보면 ‘내가 돈 버는 게 아니라 손자가 벌겠다’는 말이 실감납니다.
캠핑장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철저한 수익 구조 분석과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위험요소 검토가 필요합니다.
📌 캠핑장 창업을 고려하신다면 꼭 기억하세요
✅ "땅만 사면 된다"는 말에 속지 마세요
✅ "지금은 자리만 잡으면 된다"는 말도 위험합니다
✅ 지속 가능하고 현실적인 가격과 규모로 시작하세요
✅ 너무 욕심부리면 나중에 더 힘듭니다
나라에서 운영하는 캠핑장도 힘듭니다.